‘지금 헤어지는 중입니다’는 2021년 SBS에서 방영된 로맨스 드라마로, 사랑과 이별, 현실과 감정을 오가는 복합적인 관계를 섬세하게 그려낸 작품입니다. 송혜교와 장기용의 만남으로 화제를 모은 이 드라마는 감성적인 영상미와 현실적인 대사로 시청자들의 공감을 얻었다. 이 글에서는 드라마의 주요 줄거리, 주연 및 조연 출연진, 그리고 출연 배우들의 다른 대표작까지 함께 정리한다.
1, '지금 헤어지는 중입니다' 줄거리
‘지금 헤어지는 중입니다’는 사랑의 아름다움보다는, 이별의 현실과 그 감정을 정면으로 마주하는 드라마이다. 이야기의 중심에는 패션회사 ‘더 원’의 디자인 팀장 하영은(송혜교)과 프리랜서 포토그래퍼 윤재국(장기용)이 있다. 영은은 일에 있어서 냉철하고 논리적인 성격을 지닌 인물로, 연애보다 커리어를 우선시하며 감정보다는 현실을 중시하는 여성을 대표이다. 반면 윤재국은 자유롭고 감성적인 사진작가로, 자신의 감정에 솔직하며 사랑에 있어서도 망설임이 없는 인물로 이 둘의 인연은 우연한 만남에서 시작되지만, 점차 얽힌 과거와 감정의 복잡한 실타래가 드러나면서 예상치 못한 관계로 발전한다. 특히 윤재국은 과거 하영은이 사랑했던 남자와 관련된 깊은 인연을 가지고 있어, 그 관계는 단순한 로맨스 이상의 무게를 지니게 된다. 두 사람은 서로에게 끌리지만, 각자의 상처와 감정, 현실적인 문제들로 인해 쉽게 가까워질 수 없는 상황에 놓인다. 이 드라마는 그동안 로맨스 장르가 다루지 않았던 ‘이별의 진행형’을 정면으로 다루며, 관계가 끝나가는 순간에도 얼마나 많은 감정과 이야기가 존재하는지를 보여준다. 영은과 재국뿐 아니라 주변 인물들의 관계도 비슷한 방식으로 풀어진다. 절친 황치숙(최희서)과 전 연인 석도훈(김주헌)의 관계, 미혼모가 된 전미숙(박효주)의 이야기, 부모 세대와의 갈등 등 현실적인 감정선과 사회적 이슈가 녹아 있다. 작품은 전체적으로 ‘사랑’이라는 감정을 지나치게 미화하지 않고, 현실적인 언어와 상황을 통해 관계의 본질을 들여다본다. 특히 ‘지금 헤어지는 중입니다’라는 제목은 단순한 드라마의 설정을 넘어서, 인생에서 반복되는 관계의 흐름과 감정의 파동을 상징한다. 사랑하고, 상처받고, 다시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담하고 세련되게 풀어내는 이 작품은, 감정의 끝을 통해 사랑의 본질을 되묻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2. '지금 헤어지는 중입니다' 출연자 소개
- 송혜교 : 오랜만에 안방극장에 복귀하며 냉정하면서도 따뜻한 감성을 지닌 커리어우먼을 섬세하게 표현했다. 특히 강인한 외면과 흔들리는 내면을 동시에 연기하는 모습에서, 그녀의 연기 내공이 돋보인다.
- 장기용 : 감정 표현에 솔직한 윤재국 역을 맡아 부드러움과 강단을 오가는 연기를 선보였고, 특히 송혜교와의 케미스트리가 작품의 몰입도를 높였다.
- 최희서(황치숙 역), 김주헌(석도훈 역), 박효주(전미숙 역), 윤나무(곽수호 역) 등 : 출연하며 극의 현실성과 다양성을 더했다. 각기 다른 사연과 성격을 지닌 이 캐릭터들은 ‘사랑과 이별’이라는 주제를 다층적으로 보여주는 데 기여했다. 조연들의 연기도 작품의 감정선을 풍부하게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3. '지금 헤어지는 중입니다' 출연자의 다른 작품 소개
송혜교 : ‘가을동화’, ‘태양의 후예’, ‘그들이 사는 세상’, ‘더 글로리’, ‘그 겨울, 바람이 분다’, ‘두근두근 내 인생’ 등
장기용 : '그녀는 거짓말을 너무 사랑해', '간 떨어지는 동거', ‘고백부부’, ‘나의 아저씨’, ‘이리 와 안아줘’,‘오늘의 연애’ 등
최희서 : ‘박열’,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 ‘폭로: 눈을 감은 아이’, '빅 포레스트', '당신은 믿지 않겠지만' 등
김주헌 : ‘60일, 지정생존자’, '사이코지만 괜찮아', '빅마우스',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탐정: 더 비기닝', '크로스' 등.
‘지금 헤어지는 중입니다’는 단순한 로맨스 드라마를 넘어, 사랑의 시작보다 끝을 통해 관계를 되짚는 작품이다. 감정을 절제하며 표현하는 연기, 현실적인 대사와 분위기, 세련된 연출이 어우러져 깊은 인상을 남겼다. 출연자들의 진정성 있는 연기가 극의 메시지를 더욱 풍부하게 전달했으며, 각 배우들의 이전 작품과 비교해 보는 재미 또한 컸습니다. 감정에 충실한 드라마를 찾는 이들에게 이 작품은 추천한다.